열 달 동안 아기를 품고 있다 처음 만난 순간의 기쁨을 어떻게 잊을 수 있을까요? 하지만 아이가 커가면서 아이와 함께하는 기쁨보다 어떻게 키워야 할지 어렵고 막막한 순간들이 더 많아지는 것 같습니다. 좋은 부모가 되기 위해 잠도 줄이고, 책도 보고, 육아 선배들의 조언을 듣고 누구보다 열심히 노력하고 있다고 생각했습니다. 제게 중요한 것들을 포기하기도 했지만 막상 마음대로 되지 않는 게 더 많다는 사실과 마주하면 정말 혼란스러워집니다. 부모라는 일이 너무나 힘들게 느껴집니다. 아이 하나만으로 온갖 마음의 격정을 겪었는데 둘째라니요, 상상조차 할 수 없었지요. 그런 시간에 저는 우리 공동체 엄마들을 만나게 되었습니다. 우리는 아이들을 잘 키워보자는 마음 하나로 힘을 모았습니다. 모임을 처음 시작할 때 큰 아이가 4살이었는데 벌써 12살입니다. 우리 공동체도 8주년을 맞게 되었고요.
올해 돌봄공동체에서 가장 크게 변화된 점은 두 가지입니다. 첫째, 그동안 부모가 주체가 되어 활동을 계획하고
진행하였다면, 올해는 아이들이 운영 회의에 참여하여 의견을 내고 서로의 의견을 경청하며 안건을 모아 결정하는 과정을
거쳤습니다. 조금 특별한 한해였지요. 어떤 활동을 하고 싶은지, 그 활동을 어떻게 진행하면 좋을지, 어른들이 도움을
받아야 할 부분은 무엇인지 아이들끼리 이야기를 나누며 올 한 해를 끌어왔습니다.
그중에 가장 기억에 남는 게
‘나 홀로 놀이공원’이라는 활동입니다. 아이들이 스스로 대중교통을 타고 놀이공원에 가보고 싶다고 했습니다. 저희는 아이들
그룹을 만들어주고, 사전 준비를 열심히 했지요. 그리고 아이들과 함께 이용할 수 있는 대중교통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고,
소요 시간, 경로, 지하철 노선표 보는 법 등을 학습했지요. 이동할 때 아이들마다 각자 역할을 하나씩 맡아 책임감을
가져볼 수 있도록 도왔습니다.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 지켜야 할 안전과 예절 교육도 빼놓지 않았고요.
아이들이 ‘나 홀로 놀이공원’ 활동을 성공적으로 마치기 위해 노력하며 돌봄주체자들도 역할 분담을 했습니다. 출발지에서 지하철을 타기 전 지하철표 발권을 돕는 역할, 안전과 예절교육을 다시 한 번 숙지시켜주는 역할, 그리고 만일의 문제에 도움을 주기 위하여 아이들이 잘 하는지 숨어서 살펴보는 역할, 놀이공원 앞에서 아이들이 잘 도착했다고 반갑게 맞아주고 격려해 주는 역할, 놀이공원 안에서 아이들 간식을 준비해 주는 역할, 놀이공원에서 수행해야 할 미션과 인솔을 책임지는 역할, 그리고 활동 후 소감을 나누고 가정으로 안전하게 귀가할 수 있도록 승합차를 준비하는 역할. 아이들이 부모의 품에서 한 발 빠져나와 재미있고 안전한 세상을 만날 수 있도록 한마음 한뜻이 되어 도와주었습니다. 아이들 스스로 놀며 배울 수 있도록 아이들이 즐거웠던 점, 힘들었던 점, 속상했던 점, 다시 가게 된다면 어떻게 할 것인지 활동 소감을 나눌 때, 이 활동 하나로 아이들이 얼마나 많이 성장했고, ‘돈으로 환산할 수 없는 귀한 경험을 했구나’ 깊이 감동받았습니다. 아이들이 준비하고 계획하는 활동은 앞으로도 계속되어야 할 것 같습니다. 아이들 성장에 중요한 건 새로운 시도를 해 볼 기회이니까요. 아이 혼자서는 절대 엄두도 못 낼 일이었습니다. 공동체가 아니었다면 어떤 부모도 그런 교육을 시도해 볼 수 없었을 겁니다. 혼자서는 역부족입니다. 내 아이에게 더 많은 경험을 시켜주려면 돌봄공동체가 필요하다는 것을 새삼 깨닫게 됩니다. 우리공동체 안에서 아이들은 건강하고 바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.
2022년 돌봄공동체성장사례집 - 개개맘